목차
K패스 알뜰교통카드 전환방법
K패스란?
올해 5월부터 서비스되는 K패스는 대중교통 이용자들에게 새로운 혜택을 제공합니다. 이전에 제한적으로 사용되던 기후동행카드와는 달리, K패스는 수도권 3개 지자체뿐만 아니라 전국 17개 시·도(189개 시·군·구)에서 이용 가능합니다. 본격적인 시행 전 미리 전환신청을 받고있으니,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
알뜰교통카드 혜택 개선
기존의 알뜰교통카드에서 제공되던 혜택을 높여서 K패스를 만들었습니다. 기존의 이동거리에 따라 적립되던 방식은 폐지되고, 대신 월 15회 이상, 최대 60회의 정기적인 대중교통 이용 시 일정 비율의 지출액을 다음 달에 환급해줍니다. 이러한 혜택은 일반인에게는 20%, 청년층에게는 30%, 저소득층에게는 53%의 혜택을 제공합니다.
알뜰교통카드 vs K패스 혜택 비교
아래 표는 기존 알뜰교통카드와 K패스의 혜택을 비교한 것입니다.
구분 | 이용금액 | 이용자 구분 | 적립금 |
알뜰교통카드 | ~2천 원 | 일반 | ~250원 |
청년 | ~350원 | ||
저소득 | ~700원 | ||
알뜰교통카드 | 2천 원~3천 원 | 일반 | ~350원 |
청년 | ~500원 | ||
저소득 | ~900원 | ||
알뜰교통카드 | 3천 원~ | 일반 | ~450원 |
청년 | ~650원 | ||
저소득 | ~1,100원 | ||
K패스 | 버스요금 1,500원 기준 | 일반 | 300원 |
청년 | 450원 | ||
저소득 | 800원 |
- 알뜰교통카드 : 이동거리 비례 적립
(최대 800m)
-15회 이상, 최대 60회 - K패스 : 이동거리 무관
-15회 이상, 최대 60회
K패스 신청방법
기존의 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하던 분들은 별도의 카드 재발급이 필요 없이, 기존 카드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지 회원 전환 절차만 거치면 되며, 이를 위해서는 알뜰교통카드 앱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알뜰교통카드를 소유하지 않은 신규 회원들은 공식 누리집 또는 앱에서 카드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K패스는 대중교통 이용자들에게 새로운 혜택을 제공하는 혁신적인 제도입니다. 이용자들은 기존 알뜰교통카드를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더 많은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알뜰교통카드 소지자들은 회원 전환 절차를 통해 K패스의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신규 이용자들은 공식 누리집이나 앱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K패스를 통해 대중교통 이용 시 지출 금액의 일정 비율을 환급받아 경제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댓글